• 2023. 8. 23.

    by. 위드_길

    목차

      고려 시대의 교육 역사는 한국 교육사 가운데 중세의 교육에 해당하며, 918년부터 1392년까지, 고려 시대 동안 행해진 교육을 의미합니다. 고려는 918년 왕건이 즉위하였습니다. 고려 태조 왕건은 후삼국 시대 후고구려의 장군이자 고려를 건국한 고려의 초대 국왕입니다. 그 이후 1392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에 존재했던 왕조국가입니다.

       

       

      고려시대 교육역사

       

       

       

      중세 고려의 교육과 시대적인 특징

      중세 고려의 교육과 시대적인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고려를 건국한 태조 왕건은 이전 고대국가 운영원칙에서 벗어나 중세국가로서 고려를 통치하는 새로운 원칙을 채택하였습니다. 그중에 대표적인 것은 바로 '유교'인데, '유교'는 중국 춘추시대 말 공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의 학문을 이르는 말로 동아시아 특유의 종교 및 철학체계입니다. 태조는 후대 왕들에게 훈요 10조를 통해 유교경전과 역사서를 배우게 하여 옛일을 교훈 삼아 정치에 임하도록 하였습니다. 불교를 국교로 삼는 고려가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삼을 수 있었던 것은 불교의 수용사상 때문이었고, 상하 간의 질서를 강조하는 유교는 국민을 통치하는데 적합한 이데올로기로 여겼습니다.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은 것은 당시 고려의 교육에도 영향을 미쳤고, 교육제도의 완성을 국가의 최우선과제로 인식했습니다. 고려의 교육은 과거제도와 연결되는데, 중국에서 전해진 과거제도와는 달리 '학교에서 길러지고 과거를 통해 선발된'다는 취지 때문에 고려의 교육제도는 과거 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습니다. 교육제도의 지원이 없으면 당시 과거 제도가 원활하게 운여여되지 못했기 때문에 고려 역대 왕들은 교육 제도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고려의 태조는 고려가 성립할 때에 고려의 호족들과의 기반 위에 성립되었기 때문에 이들을 배제할 수가 없었습니다. 호족세력들 또한 특권층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에 태조는 부담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는데, 이들 세력을 달래고 이끌어가기 위해 고려 지방 교육제도를 정착시켰습니다.

       

       

       

      중세 고려의 학교 교육

      • 국자감

      고려의 대표적인 학교교육 기관인 국자감은 고려 성종 11년에 설립되어 고려 시대 국립 고등 교육 기관으로 수도 개경에 위치했습니다. 국자감은 유교 군주의 최우선 과제인 교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이 되었고, 또한 학교가 과거 제도를 활성화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당시 왕들의 사고 때문에 국자감을 설립하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학교 교육을 통하여 유교 사상에 따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학교의 역할은 유능한 인재를 선발할 뿐 아니라 왕권을 안정시키는 제도로서 기능을 하였습니다. 고려의 왕들은 끊임없이 학교 설립과 운영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 국자감의 특징

      국자감의 큰 특징은 '묘학재'로서 공자를 비롯한 유교성인들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한 문묘와 학생들에게 강의를 하기 위한 학교를 따로 두었다는 것입니다. 국자감은 '6학 4계급', 즉 국자학, 태학, 사문학, 율학, 서학, 산학의 6개 학교로 이루어졌으며, 각 학교의 입학자격은 4개의 입학등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자학은 문무관 3품 이상의 자손, 태학은 문무관 5품 이상의 자손, 사문학은 문무관 7품 이상의 자손, 그리고 율학과 서학과 산학은 문무관 8품 이상의 아들과 서인으로 4개의 입학등급으로 나뉘었습니다. 국자감의 학생수는 300명이었으나 율학과 서학과 산학의 입학 정원이 일정하지 않았고, 수업기간은 유교 경전을 가르치는 한문과 태백과 사문학이 9년, 기술교육을 담당한 율학과 서학과 산학이 6년이었습니다.

       

      • 국자감의 교육과정

      국자감의 교육과정은 국자학, 태학, 사문학에서는 논어와 효경을 필수로 이수하도록 했으며, 경서들을 3개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서 하나의 경전씩 익히게 하였습니다. 국자감의 교사는 박사와 조교로 이루어졌으며, 예종 4년, 1109년에 국자감의 조직은 국학에 전공을 의미하는 7재가 설치되며 유학 전공방과 무술 전공반이 설치되었습니다. 이전의 기술학부가 없어지고 무술전공반이 생긴 것은 학국 역사상 국자감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모습이며 조선시대의 성균관이 오직 유학부만 있었던 것과 차별을 됩니다. 예종 14년에는 양현고가 설치되었는데, 장학재단이었습니다. 고려 시대의 국자감의 강화는 왕권강화와 직접적인 영향이 있을 뿐 아니라, 국격의 상징이기도 하였습니다.

       

       

       

      중세 고려의 교육 발전 과정

      중세 고려의 교육 발전 과정은, 고려의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한 후에 무력저인 통치가 아닌 문치주의에 입각한 유교적인 정치이념을 내세우며 호족과 백성을 달래고 통제하려 하면서 고려의 교육제도가 복격화되고 시작되었습니다. 학문과 법령에 따라 정치를 펴는 문치주의로 백성을 회유하고 통제하기 시작했습니다.

      고려시대의 교육은 첫 번째, 고려의 교육제도는 유교정치의 일환으로 중앙집권화 과정에서 확립되었습니다. 특히 과거 제도의 발달로 교육의 기능은 준비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고, 불교의 발달로 사찰도 사교육에 크게 기여하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는 관학과 사학으로 구분하여 고려의 교육제도는 관학이 주를 이루었고, 특히 교육기관의 최고장소는 국자감이었습니다. 여기에는 일반학도 포함되어 있고, 입학 자격도 계층별로 달라서 귀족중심의 계급교육이었습니다. 특히 교육재단과 교육시설이 갖춰져 있었고, 각각 예종과 충렬왕 때 큰 혁신과 발전이 있었습니다. 세 번째로는 고려 말경에는 주자학의 도입으로 본격화된 교육제도는 경영연수원뿐만 아니라 전문교육기관이라는 학문연구기관의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여말의 성균관은 조선의 성균관으로 발전하여 고대교육의 중추적인 기관이 되었습니다.